전체 글24 장튼튼하게 만들기 시작, 청국장가루 솔직후기 청국장가루 '이런 것도 효과가 있을까?' 아침에 일어나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무엇인가요? 저는 반사적으로 화장실로 향했지만, 매번 허탈한 마음으로 나와야 했어요. 3일, 4일이 지나도 시원하지 않은 속, 점점 무거워지는 몸. 그렇게 몇 년을 보내다 보니 변비가 제 일상의 일부가 되어버렸더라고요. 많은 분들이 저처럼 속앓이를 하고 계실 텐데, 혹시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하고 계시지는 않나요? 절대 그렇지 않아요!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의 16.5%가 이런 증상을 겪고 있으며, 충분히 개선 가능한 증상이라고 해요. 특히 배변 습관 개선과 적절한 식이섬유 섭취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청국장가루를 선택하게 된 계기.. 2025. 9. 11. 과민성대장증후군 가스형 유산균 음식으로 대장 지키기 과민성대장증후군 가스형, 시도때도없이 가스생김시중에 파는 유산균 말고 음식으로도 다스릴수 있을까? 안녕하세요, 같이 시작할 건강지킴이 watermelon-chat입니다. 혹시 식사 후에 배가 볼록하게 나오거나 가스가 차서 불편했던 경험이 있으신가요? 학창시절부터 배에 가스가 자주 차고 복부팽만감에 고역이였습니다.처음엔 단순한 소화불량이라고 생각했는데,증상이 지속되면서 병원을 찾았더니 **과민성대장증후군 가스형**이라는 진단을 받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배에 가스가 차는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혹은 심각한 질병이 아닐까 걱정하시는데요. 오늘은 제 경험을 바탕으로 과민성 장 증후군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고, 운동 및 음식 관리법을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 과민성대장증후군 가스형, 정확히 알고.. 2025. 9. 10. 사이코패스의 특징(2) 이들은 또한 매우 자기중심적이기도 하다. Widom(1976a, 1976b)은 정신병질자와 정상인들의 대인 인지구조와 개인 인지구조 체제를 비교했는데, 정신병질자들은 동일한 상황에 대하여 다른 사람들이 자신과는 다르게 해석을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상상하지 못하며 자신의 고정된 인지구조를 수정하려고 노력하지도 않는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들에서도 정신병질자들은 대인관계에서 위협적인 상황에 대해 인지적으로 왜곡해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Blackburn, & Lee-Evans, 1985), 정상인에 비해 불안상황을 실제보다 더 많이 분노유발상황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terling, & Edelmann, 1988). 이 같은 대인관계 상의 결함은 사실상 이들의 정서적인 둔감성과 밀접.. 2025. 9. 4. 01. 정신병질 개념에 대한 이해(2) 한편 사회병질자(sociopaths)라는 개념이 한동안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1952년 미국 정신의 학회는 정신병질이라는 명칭 대신에 사회병질(sociopaths)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반복적으로 소양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적합하다는 입장이 대두되면서 1968년 미국의 정신의학회는 DSM-III에서 이런 행동특성을 반사회적인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라 지칭하였다. 반사회적 인격장애자의 특성은 '자신의 이득을 위해 타인의 권리를 쉽게 무시 혹은 침해하는 경향'이며 이런 경향은 아동기 혹은 청소년기 초기부터 비행으로 꾸준하게 발현된다고 한다. 이렇게 위법행동을 지속적으로 보이는 일군의 대상에 대하여 정신의학 분야에서는 일찍이 반사회적 인격장애라고 지칭하여 왔다. .. 2025. 9. 3. 정화 5.5 정화 분노의 표현이 공격성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Freud는 이것을 카타르시스, 즉 정화라고 불렀다. 간단히 말하면, 정화는 화를 방출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만약 누군가가 자동차 경적을 울려서 당신을 괴롭힌다면 당신은 화가 날 수도 있다. 다음 신호에서 당신이 그 차 뒤에서 경적을 울린다면 당신의 화는 어느 정도 줄어들 것이다. 정화는 좌절하게 만든 사람에게 정확하게 화를 표현할 때 성공적일 수 있다. 그러나 정화는 또한 위험성도 가지며, 어떤 상황에서는 실제로 공격성을 늘리기도 한다(Bushman, Baumeister, & Stack, 1999). 사람들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자신의 화를 잘 통제한다. 그러나 그것이 한번 방출되면, 적대감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억제력은 기능하지 못한다. Gr.. 2025. 9. 2. 연령 4.6 연령 Moffitt(1993)은 평생 지속적인 비행경력자와 청소년기 일시적인 비행자가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물론 평생 동안 비행을 일삼는 일부 청소년 인구가 있기는 하지만, 비행청소년의 대다수는 청소년기의 일시적인 비행자, 즉 15~25세 사이에 반사회적 행동을 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공격성이 청소년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Hirschi와 Gottfredson(1983)은 1970년, 1974년, 그리고 1983년에 미국에서 연령에 따른 주거침임 절도 체포율의 조사를 통하여 연령과 범죄와의 관계를 밝혔다. 이들은 범죄를 저지를수 있는 능력이 신체적으로 가장 활발할 수 있는 시기에 범죄율이 가장 높으며, 그 이후로부터 인생의 종말로 이어지는 시기 .. 2025. 9. 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