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범죄심리학22

사이코패스의 특징(2) 이들은 또한 매우 자기중심적이기도 하다. Widom(1976a, 1976b)은 정신병질자와 정상인들의 대인 인지구조와 개인 인지구조 체제를 비교했는데, 정신병질자들은 동일한 상황에 대하여 다른 사람들이 자신과는 다르게 해석을 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상상하지 못하며 자신의 고정된 인지구조를 수정하려고 노력하지도 않는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들에서도 정신병질자들은 대인관계에서 위협적인 상황에 대해 인지적으로 왜곡해서 받아들이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으며(Blackburn, & Lee-Evans, 1985), 정상인에 비해 불안상황을 실제보다 더 많이 분노유발상황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terling, & Edelmann, 1988). 이 같은 대인관계 상의 결함은 사실상 이들의 정서적인 둔감성과 밀접.. 2025. 9. 4.
01. 정신병질 개념에 대한 이해(2) 한편 사회병질자(sociopaths)라는 개념이 한동안 사용되기도 하였는데, 1952년 미국 정신의 학회는 정신병질이라는 명칭 대신에 사회병질(sociopaths)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반복적으로 소양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적합하다는 입장이 대두되면서 1968년 미국의 정신의학회는 DSM-III에서 이런 행동특성을 반사회적인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라 지칭하였다. 반사회적 인격장애자의 특성은 '자신의 이득을 위해 타인의 권리를 쉽게 무시 혹은 침해하는 경향'이며 이런 경향은 아동기 혹은 청소년기 초기부터 비행으로 꾸준하게 발현된다고 한다. 이렇게 위법행동을 지속적으로 보이는 일군의 대상에 대하여 정신의학 분야에서는 일찍이 반사회적 인격장애라고 지칭하여 왔다. .. 2025. 9. 3.
정화 5.5 정화 분노의 표현이 공격성을 감소시키기도 한다. Freud는 이것을 카타르시스, 즉 정화라고 불렀다. 간단히 말하면, 정화는 화를 방출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만약 누군가가 자동차 경적을 울려서 당신을 괴롭힌다면 당신은 화가 날 수도 있다. 다음 신호에서 당신이 그 차 뒤에서 경적을 울린다면 당신의 화는 어느 정도 줄어들 것이다. 정화는 좌절하게 만든 사람에게 정확하게 화를 표현할 때 성공적일 수 있다. 그러나 정화는 또한 위험성도 가지며, 어떤 상황에서는 실제로 공격성을 늘리기도 한다(Bushman, Baumeister, & Stack, 1999). 사람들은 대부분의 상황에서 자신의 화를 잘 통제한다. 그러나 그것이 한번 방출되면, 적대감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억제력은 기능하지 못한다. Gr.. 2025. 9. 2.
연령 4.6 연령 Moffitt(1993)은 평생 지속적인 비행경력자와 청소년기 일시적인 비행자가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물론 평생 동안 비행을 일삼는 일부 청소년 인구가 있기는 하지만, 비행청소년의 대다수는 청소년기의 일시적인 비행자, 즉 15~25세 사이에 반사회적 행동을 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공격성이 청소년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Hirschi와 Gottfredson(1983)은 1970년, 1974년, 그리고 1983년에 미국에서 연령에 따른 주거침임 절도 체포율의 조사를 통하여 연령과 범죄와의 관계를 밝혔다. 이들은 범죄를 저지를수 있는 능력이 신체적으로 가장 활발할 수 있는 시기에 범죄율이 가장 높으며, 그 이후로부터 인생의 종말로 이어지는 시기 .. 2025. 9. 1.
대중매체의 영향2 영화가 TV보다 영향력이 강하다는 연구도 있다. TV는 광고로 중도에 끊기기도 하고 주변사람들에 의해서 신경이 분산되지만, 영화는 어두운 공간에서 낯선 이들과 함께 보게 되고 방해받는일 없이 집중하여 보게 되는데, 영화의 묘사는 대부분 TV보다 좀 더 사실적이고 각인이 잘 도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미디어 폭력이 공격행동을 만드는 충분조건은 아니다. 공격행동은 다원적으로 결정되며, 개인에게 공격행동을 야기할 수 있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Bushman과 Anderson(2001)은 밝히고 있다. 하지만 미디어 폭력과 공격성은 이스라엘, 호주, 핀란드, 남아프리카, 그리고 미국 등에서 문화를 넘어선 일반성을 보여주고 있다. 공격적 아동이 더 많은 미디어 폭력을 시청하고 미디어 폭력에 더 .. 2025. 8. 30.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8 공격성의 중추신경 기제 공격성의 경로를 살펴보면, 인간의 공격성에 관한 정서처리가 대뇌피질을 거쳐 편도체와 시상하부를 지나면서 포식적 혹은 감정적 공격성의 두 경로로 나뉘어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알수 있다. 변연계와 피질회로를 통해 원을 그리며 순환하고 있는 회로를 통해, 감정적 자극에 대한 인지적, 철학적, 그리고 경험을 통해 얻는 사항들이 더해지고, 신경의 CD-ROM처럼 근육과 호르몬 그리고 내분비계 반응이 동시에 연속적으로 발생한다(Damasio, 1994). 순환회로로 시냅스를 통해 뇌신경 간 자극을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은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이다. 오랫동안 신경생물학자들은 '뇌(brain)'와 뇌의 언어로 대변되고 있는 '신경전달물질'에 관한 연구들을 시행해.. 2025.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