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심리학22 학습이론 3.4 학습이론 1970년대에 범죄학에서 범죄의 발생을 사회학습과정으로 설명하고자 시도하기 훨씬 이전부터 학습은 심리학의 주요한 주제였다. 유럽에서는 Wundt(1932~1920)가 1987년 실험실을 창시하고, 미국에서는 James(1842~1940)가 하버드에서 심리학을 연구할 즈음부터 심리학은 실험연구 전통을 지니고 인간의 행동양식을 연구하였다. 특히 학습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국 행동주의의 창의와 더불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Pavlov(1849~1936)의 고전적 조건화에 개념적 뿌리를 둔 학습과정에 대한 연구는 Watson(1979~1958)에 의하여 보다 세분화되었다. 강화를 받은 행위는 학습되고 강화가 없거나 처벌받는 행위는 소거된다는 것을 학습에 관한 수많은 실험을 통하여 입증해 왔다. .. 2025. 8. 21.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3.1 지능이론 범죄자들이 일반인들보다 더 열등할 것이라는 가정은 사실 Lombroso(1876)의 연구에서부터 출발한다. 그 후 유전적 소양에 있어 잠재된 문제 특성이 범죄로 발현된다고 가정되었고, 결국 이와 같은 가정은 Goring(1913)이 인류학적 연구방법으로 범죄자들의 외관상 특성을 수량화하도록 하였다. 그는 3,000여명의 영국범죄자들과 동일한 수의 비범죄자들을 모집하여 두개골의 크기 등 외관상의 특징을 찾아내고자 시도하였다. 하지만 Lombroso(1876)가 발견하였던 것과 같은 외관상의 공통된 특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두가 가정하였던 열등 유전자설은 그 이후에도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어 지능과 범죄의 관련성을 탐구하도록 인도 하였다. 지능과 범죄와.. 2025. 8. 21. 초기의 범죄생물학 2.1 초기의 범죄생물학 소질론적 범죄원인을 제기하고 자연과학적이고 실증주의적으로 범죄원인을 연구한 개척자로서 생물학적 입장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Lombroso(1968)는 법률위반자가 관습적인 가치를 지닌 사람들과 신체적으로 어떻게 다른가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사형이 집행된 범죄자들의 시체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그는 상습적인 절도나 폭력 범죄자들은 애초부터 범죄자로 태어났으며, 이는 격세유전의 결과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Lombroso의 연구는 오늘날 과학적 사실이라기보다 일종의 역사적 호기심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의 연구가 통제집단을 활용하지 않았다는 방법론상의 결함을 가지고 있으며, 그가 유전되는 것으로 믿었던 많은 인자들, 예컨대 '범죄자는 털이 많다'라는 것 .. 2025. 8. 20. 사회화 과정과 범죄 1.2 사회화 과정과 범죄 사회구조에 초점을 맞춘 이론들은 사회구조와 범죄가 상관이 있다고 보고 개인이 특성이 아닌 환경의 구조를 강조하였다. 이와 달리 사회과정이론은 그 사회의 구성원이 어떻게 범죄자가 되는지에 관하여 초점을 맞춘다. 다시 말해, 범죄를 조장하는 환경이나 범죄자의 특성보다는 개인이 범죄자가 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Reid, 1985). 사회화 과정에 대한 이론은 동일한 사회구조적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모두 동일하게 반응하는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하류 계층이라고 하더라도 일부는 법을 지키는 데 반하여, 어떤 사람들은 그 법을 어기고 범죄를 저지른다. 또한 모든 범죄자가 항상 범죄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모든 비범죄자가 항상 법을 .. 2025. 8. 19. 범죄학과 범죄심리학 제2장 범죄학과 범죄심리학 범죄 원인론은 사람들이 범죄 행동을 하는 원인에 관한 이론이다. 범죄가 발생하는 이유와 사람들이 범죄행위를 하는 요인 등을 설명하기 위한 범죄 원인론은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뉜다. 첫 번째 부류는 18세기 유럽에서 영향력을 가졌던 고전학파(Classical School)의 범죄 원인론으로, 인간을 자유의지와 쾌락원칙에 의해 행동하는 존재로 파악하는 17세기의 철학적 인간관에서 시작되었다. 두 번째 부류는 유럽의 범죄학자들로부터 시작된 실증학파(Positivist School)이다. 이 학파에는 신체 조건과 범죄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던 초기 생물학적 관점을 가진 학자들과 환경적 영향을 강조한 학자들이 속하였다. 그러나 유럽에서 시작된 실증학파가 본격적인 이론을 제시하.. 2025. 8. 19. 판결 단계에서의 심리학의 활용 4.1.4 범죄자 프로파일링 범죄자의 유형에 관한 정보를 수사기관에 제공하여 용의자의 범위를 축소하거나 범죄 행동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동종의 범죄자들이 유사한 행동양식을 가지는지에 대한 것이 이론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못하고, 한 번으로 그치고 마는 범죄의 경우 범죄자의 유형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프로파일링(profiling)이 유용하게 활용되기 위해서는 범죄와 범죄자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4.2 판결 단계에서의 심리학의 활용 4.2.1 책임능력의 판단과 위험성 평가 책임능력은 오랫동안 심리학적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다. 1843년에 마련된 책임능력에 관한 최초의 법적 기준인 McNaughton 원칙은 사물 변별능력, 즉 인지능력.. 2025. 8. 17.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