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4 반사회적(antisocial) 공격과 친사회적(prosocial)공격 1.2.3 반사회적(antisocial) 공격과 친사회적(prosocial)공격 주로 우리는 공격을 나쁜 것으로 생각하지만, 몇몇의 공격적인 행동은 이롭기도 하다. 많은 공격적 행동은 사회규범에 의해서 실제로 받아들여지고, 따라서 친사회적 공격행동으로 묘사된다. 예를 들어, 법의 집행, 부모의 적당한 훈육, 그리고 전시에 지도자의 명령에 복종하는 것은 필요한 행동으로 간주된다. 예컨대 우리는 시민을 죽이고 인질을 잡고 있는 테러리스트를 총으로 쏘는 경찰을 인정한다. 반면에 다른사람을 해치는 정당하지 않은 범죄행위는 사회적 규범을 어기게 되고, 따라서 반사회적 공격행동이 된다. 어떤 공격행동은 친사회적과 반사회적 판단의 사이에 있는데, 이것이 허용된 공격(sanctioned aggression)이다. .. 2025. 8. 23. 범죄행동의 심리학적 원리 제2부 범죄행동의 심리학적 원리 제3장 공격성 01. 공격성의 정의와 유형 인간의 역사는 공격성에 관하여 충분한 증거들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Baron(1983)과 Montagu(1976)에 따르면, 기록에 남아있는 5,600여년의 인간 역사는 14,600여건의 전쟁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연당 2.6건을 넘는 비율이라고 한다. 어떤 연구자들은 이러한 공격성이 인간의 생존에 도움이 되어 왔다고 주장한다. 사나운 육식 공룡의 공격을 받았던 원시시대부터 끊임없는 경쟁이 이뤄지는 현대 산업사회에 이르기까지의 오랜 경험을 통하여, 인간은 공격적인 행동이 그들에게 부를 획득하는데, 그리고 획득한 재산과 가족을 보호하는데, 또한 명성과 지위 그리고 권력을 얻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배워 왔다. 사실 우리는 .. 2025. 8. 21. 학습이론 3.4 학습이론 1970년대에 범죄학에서 범죄의 발생을 사회학습과정으로 설명하고자 시도하기 훨씬 이전부터 학습은 심리학의 주요한 주제였다. 유럽에서는 Wundt(1932~1920)가 1987년 실험실을 창시하고, 미국에서는 James(1842~1940)가 하버드에서 심리학을 연구할 즈음부터 심리학은 실험연구 전통을 지니고 인간의 행동양식을 연구하였다. 특히 학습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국 행동주의의 창의와 더불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Pavlov(1849~1936)의 고전적 조건화에 개념적 뿌리를 둔 학습과정에 대한 연구는 Watson(1979~1958)에 의하여 보다 세분화되었다. 강화를 받은 행위는 학습되고 강화가 없거나 처벌받는 행위는 소거된다는 것을 학습에 관한 수많은 실험을 통하여 입증해 왔다. .. 2025. 8. 21. 심리학적 범죄원인론 3.1 지능이론 범죄자들이 일반인들보다 더 열등할 것이라는 가정은 사실 Lombroso(1876)의 연구에서부터 출발한다. 그 후 유전적 소양에 있어 잠재된 문제 특성이 범죄로 발현된다고 가정되었고, 결국 이와 같은 가정은 Goring(1913)이 인류학적 연구방법으로 범죄자들의 외관상 특성을 수량화하도록 하였다. 그는 3,000여명의 영국범죄자들과 동일한 수의 비범죄자들을 모집하여 두개골의 크기 등 외관상의 특징을 찾아내고자 시도하였다. 하지만 Lombroso(1876)가 발견하였던 것과 같은 외관상의 공통된 특성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모두가 가정하였던 열등 유전자설은 그 이후에도 연구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끌어 지능과 범죄의 관련성을 탐구하도록 인도 하였다. 지능과 범죄와.. 2025. 8. 21. 초기의 범죄생물학 2.1 초기의 범죄생물학 소질론적 범죄원인을 제기하고 자연과학적이고 실증주의적으로 범죄원인을 연구한 개척자로서 생물학적 입장의 대표자라 할 수 있는 Lombroso(1968)는 법률위반자가 관습적인 가치를 지닌 사람들과 신체적으로 어떻게 다른가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사형이 집행된 범죄자들의 시체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그는 상습적인 절도나 폭력 범죄자들은 애초부터 범죄자로 태어났으며, 이는 격세유전의 결과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Lombroso의 연구는 오늘날 과학적 사실이라기보다 일종의 역사적 호기심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의 연구가 통제집단을 활용하지 않았다는 방법론상의 결함을 가지고 있으며, 그가 유전되는 것으로 믿었던 많은 인자들, 예컨대 '범죄자는 털이 많다'라는 것 .. 2025. 8. 20. 사회화 과정과 범죄 1.2 사회화 과정과 범죄 사회구조에 초점을 맞춘 이론들은 사회구조와 범죄가 상관이 있다고 보고 개인이 특성이 아닌 환경의 구조를 강조하였다. 이와 달리 사회과정이론은 그 사회의 구성원이 어떻게 범죄자가 되는지에 관하여 초점을 맞춘다. 다시 말해, 범죄를 조장하는 환경이나 범죄자의 특성보다는 개인이 범죄자가 되는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Reid, 1985). 사회화 과정에 대한 이론은 동일한 사회구조적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모두 동일하게 반응하는 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하류 계층이라고 하더라도 일부는 법을 지키는 데 반하여, 어떤 사람들은 그 법을 어기고 범죄를 저지른다. 또한 모든 범죄자가 항상 범죄적인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모든 비범죄자가 항상 법을 .. 2025. 8. 19. 이전 1 2 3 4 다음